![](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6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4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12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3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4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8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34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32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35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1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0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15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2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6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7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29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31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33s.jpg)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14s.jpg)
왕비 관장식 국보 155호
왕비의 머리부분에서 거의 포개어진 채 발견되었 다. 얇은 금판에 인동당초문[忍冬唐草紋]과 화염문[火焰紋] 장식을 투조(透彫)하였다. 왕의 관식과는 달리 문양이 좌우대칭이며 영락을 달지 않았다. 중앙에는 7개의 연꽃잎이 바닥으로 늘어진 모습을, 그 위에는 막 피어오르는 꽃을 꽂은 꽃 병을 투조하고 있어 불교적인 요소가 관식의 제작에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왕관장식 국보154호
왕의 머리부분에서 거의 포개어진 채 발견되었다. 얇은 인동당초문(忍冬唐草紋)과 화염문(火焰紋)장식을 투조(透彫) 하였는데 문양의 좌우가 비대칭이다. 줄기와 꽃에 지름이 5mm정도의 달개를 달았다. 달개는 둥글고 작은 원판이며 여기에 작은 구멍을 뚫어 금실로 꿰어 4∼6회 꼬아 달았는데 모두 127개이다.「구당서(舊唐書)」에 '(왕 은) 검은 천으로 된 관(冠)에 금꽃을 장식하고...'라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으로 보면, 왕릉 출토의 관식은 왕이 평소 사용했던 비단모자의 좌우 혹은 전후에 꽂았던 장식품으로 사용했다
- 무령왕의 지석[誌石, 국보 제 163호]
![](http://pro.gjue.ac.kr/~kongju/image/muimg3s.jpg)
왕릉의 널길 입구에 놓여 있던 2장의 장방형 돌판 이다. 가로 41.5cm 세로35cm 두께5cm의 청회색 섬록암에 해서체로 글이 새겨져있다. 이 지석 은 우리 나라 지석 중 가장 오래 된 것일 뿐만 아니라 이 지석이 출토됨으로써 왕릉은 삼국 시대의 왕릉 중 피장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무덤이 되었다, 비록 내용은 소략 하지만 '삼국사기'에 누락된 사실을 보충할 수 있었고 매지권(買地券)에서 알 수 있듯이 백 제인들의 사상 연구에 주요한 단서가 되었다. 이 지석 2장이 고분 축조연대를 분명히 제시 해 주었기 때문에 왕릉 출토유물은 삼국시대 고고학 연구 특히 편년 연구에 기준자료가 되 었다. 왕의 지석 표면에는 "무령왕이 62세 되던 523년 5월 7일 붕어(崩御)하여 525년 8월 12일에 대묘[大墓·王陵]에 모시고 지상과 같이 기록하여 둔다." 는 내용이 새겨져 있고 그 뒷면에는 방위표(方位表) 또는 능(陵)의 위치를 표시하는 묘역도(墓域圖)를 나타내 10간(干) 12지(支)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