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사고와 격암유록
남사고(南師古)는 조선 명종때(서기 1509∼1571년) 천문지리(天文地理)에 능통한 사람이었다. 어린시절부터 총명하여 많은 사람들은 그 아이를 신동(神童)이라고까지 불렀다.
그렇다고 성장하여 장원급제를 하거나 벼슬을 탐한 것도 결코 아니었다. 한때 그가 일종의 천문학 교수인 종6품의 관상감(觀象監)이란 벼슬을 하게 된 것도 역학(易學)•복서(卜筮)•상법(相法)•천문(天文) 등에 남다른 박식함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선생이 어린시절에 불영사(佛影寺)란 절을 갔을 때 일이다. 스님 한 분이 선생을 보고 깜짝 놀라며 천기(天氣)를 받아 눈에 광채가 번뜩이고 있음을 보자 "아! 그놈 참 영특하게 생겼구나."
스님의 이 같은 말을 듣고 있던 선생이, "그럼, 스님 저하고 바둑 한 판 두지 않겠소이까?" 하고 청하자 스님은 마음 속으로, '바둑에 대해서는 둘째 가라면 서운하다 할 정도인 내가 어린 네가 아무리 총명하다고 해도 나를 감히 따라 올소냐?' 이런 마음으로 어린 남사고에게 쾌히 응락을 했다.
두 사람은 절 근처에 있는 부용봉(芙蓉峯)에서도 기암절벽이 수려한 노송나무 밑에서 바둑을 두기 시작했다. 두 사람이 바둑을 두는 광경은 한 폭의 그림과 같았다. 태고때부터 아름다운 산세에 몇백 년 동안 만고풍상을 다 겪으면서 꼬불꼬불하게 자라난 큰 노송 밑에서 백발이 성성한 노스님과 어린 나이인 남사고선생이 마주하여 바둑을 두는 모습은 참으로 돋보이는 아름다움이었다.
처음에는 이내 승부가 날 것으로 생각했던 노스님은 시간이 갈수록 자신의 수가 남사고만 못하다는 것을 알고서 점점 불안해졌다. 남사고는 웃음을 띄면서 장난하듯이 쉽게 두고 있어도 승세를 계속 유지하게 되자 노스님은 망신스럽다는 생각에 얼굴이 벌겋게 상기되었다.
결국 바둑은 나이 어린 남사고가 이겼다. 화가 난 노스님은 갑자기 산천이 떠나 갈 정도로 큰 소리를 치며 모습을 감추어 버렸다. 그러더니 잠시 후 땅 속에서 머리와 콧등을 먼저 보이며 큰 황소처럼 변장하여 나타나면서 남사고에게 물었다.
내가 이렇게 나타나도 무섭지 않느냐?" 고 하자 남사고는 태연한 모습으로, "뭐가 무섭습니까? 본래 모습은 스님이었는데요." 하고 대답했다. 노스님은 자신이 어린 남사고와 힘을 겨루는 못난이었음을 깨닫고 후회했다.
그후 노스님은 남사고가 비범한 인물임을 알고 자신이 사부로부터 전수받은 천문지리에 관한 각종 비록을 남사고에게 전해주었다. 남사고는 심산유곡 깊은 동굴에 들어가 그 비전을 해독하여 능히 천기(天氣)를 알아볼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돼 개인에 관한 미래는 물론이고 나라에 관한 미래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예언하여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그와 같은 예언을 비록(秘錄)해 놓은 책이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격암유록(格庵遺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