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 미스테리

부친 묘 이장을 9 번한 남사고

부친 묘 이장을 9 번한 남사고

남사고(南師古)는 조선 명종때(서기 1509∼1571년) 천문지리(天文地理)에 능통한 사람이었다.

남사고의 부친이 돌아가시자 명당을 찾아 조금이라도 나은 자리가 있으면 이장을 하고곤 했다.
역학과 풍수지리에 능통한 선비인 남사고는 더 좋은 명당자리를 찾고 있던 중, 동쪽으로 흐르는 강 가운데에 작은 봉우리를 두고 서쪽에서 아홉 개의 작은 산들이 뻗어 있었다.
마치 아홉마리의 용이 구슬 한 개를 가지고 노는 형상을 하고 있는 듯 했다.남사고는 이곳이 명당 중에 명당이라고 생각하고 구용이 구슬 한 개를 가지고 노는 자리 임을 확신하고 길일을 찾아 부친의 묘를 이장하려고 했다.

아홉 번 째의 묘를 이장하는 중이었다.
마침내 이장 하는 날 하관을 하려는데 처음 본 총각이

‘내가 마신 술은 술이 아니라 구곡루구나’
하며 소리 높여 울기 시작했다.
그리고 여기서 그치지 않고

‘아홉 마리 뱀이 개구리를 차지 하려고 다투는 곳이로다. 아홉 번 옮기고 통곡하는 남사고야’

부친의 시신을 하관 중이던 남사고가 화들작 놀라 사방을 살펴보니 묘가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아래로 내려와 아홉 마리 뱀이 개구리와 다투는 형상이 된 것이다.

당시 국법은 백성들은 묘 이장을 아홉 번까지만 허용 되었다

조상을 명당에 모시고 발복을 아무리 바라도 덕이 없는 자손은 명당을 차지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담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