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웨시(인도네시아)의 장례문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4/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2.jpg?original)
초등학교에서 인도네시아는 수마트라, 보르네오, 셀레베스, 자바, 4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라고 배웠다.
지금은 4개섬에 더하여 뉴기니섬의 서부 이리얀자야를 포함하여 13,700여개의 도서로 이루어진 해양국이다.
셀레베스(Celebes)로 알려졌던 섬은 지금은 슬라웨시로 불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3/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19.jpg?original)
따나 또라쟈(Tana Toraja)
- 난초의 형상이라는 슬라웨시 최 남단에 위치한 주도 우중빤당(Ujung Pandang)
에서 북쪽으로 300km떨어진 중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따나 또라자 마을은 독특한
문화와 고대의 전통으로 유명하다.이 마을 사람들의 대다수는 아직까지 '아룩
토도로(Aluk Todolo)'라고 불리는 대대로 내려온 예식을 따라 모든 전통의식을
치르며 마을에서는 독특한 전통가옥과 헛간들을 볼 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0/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19.jpg?original)
남아시아에서 배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되는 정착민들의 "통코난(Tongkonan)"
이라는 전통가옥은 그들의 배를 집으로 개조했던 초기의 관습에 따라 오늘날의 주거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또한 세대를 거듭하면서 전해내려 온 그들의 문화 중 램부
솔로(Rembu Solo)라는 독특한 장례의식이 있으며 절벽의 동굴, 산의 평평한곳,
매장을 위해 지은 집등 다양한 무덤 형태가 있다.- 전통 가옥의 팔라와(Palawa)마을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4/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19.jpg?original)
가옥의 1층은 물소나 가축의 사육, 2층은 거주공간, 3층은 빈 공간이다.슬라웨시의 전통가옥은
북수마트라의 전통가옥과 닮았으나 수마트라의 가옥이 야자잎이나 양철지붕이 많은데 비해
이곳의 가옥은 둘로 쪼갠 대나무를 여러겹으로 쌓아 만든 지붕으로 중후한 멋이있다.
- 범선의 선수모양의 처마를 지지하고있는 정면의 기둥에 걸려있는
물소뿔의 수량이 부의 척도가 된다.
장례의식 또라쟈의 장례의식은 아주 유명하다.또라쟈에서는 사는 것보다 죽는데 돈이 많이든다고
할 정도로 장례식에 전 재산을 투입하는 사람이 적지않다. 장례의식은 사체처리, 밤샘, 부장할 인형
만들기,무덤구축등 몇단계로 나누어저 그 때마다 물소나 돼지를 잡아 마을 사람이나 참가자들에게
대접한다.귀족의 장례의 경우는 몇개월이 걸리는 수가 있고 이 동안에 제물로 바쳐진 물소가 64마리,
돼지 122마리였던 기록도 남아 있다. 이곳에서 물소는 농경용이라기보다 제례용으로 사육된다.
(사진의 2층 발코니에 보이는 노란색이 사자의 관이며 앞에는 영정이 걸려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0/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0.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5/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4.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4/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0.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17.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5/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9.jpg?original)
성장을 한 사자의 가족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5/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5.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3/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1.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16.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3/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3.jpg?original)
보리(Bori)- 또라자족의 신분이 높은 사람들의 장례식 장소로서 5m 가까운 돌기둥(선돌)이
여기저기 서 있고 기묘한 분위기가 감도는 곳이다.
통코난(전통가옥) 모양의 상여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0/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3.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0/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2.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5/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7.jpg?original)
사라뿡(Sarapung) 이가 나지 않은 어린아이의 사체는 숲속의 나무 줄기를 도려내고
그 구멍에 시신을 안치한다. 수목장의 원류로 생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5/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6.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4/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3.jpg?original)
레모(Lemo) 레모에는 또라쟈를 대표하는 암벽묘가 있다. 높이 수십m의 잘라낸
듯한 바위산 허리에 여러개의 옆으로 판 동굴이있다. 베란다와 같이 난간을 설치한
4각의 횡혈에는 나무로깎은 고인을 대신해 만든 인형(따우따우)이 늘어서 있다.
이와 같이높은 암벽에 있는묘소는 왕족이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3/20_24_8_12_blog78227_attach_0_22.jpg?orig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