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예수성심 대축일

예수성심 대축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수 성심 대축일"은 예수 성심을 특별히 공경하는 축일로,

성체성사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다음 첫 금요일에 지낸다.

이 축일은 중세에 이르러 일반화되기 시작하여,1856년 교황 비오 9세가 예수 성심을 공경할 것을 권장하면서

예수 성심 축일을 라틴 교회 전례력에 도입하였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대축일로 지내게 되었다.

1955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사제들이 복음 선포의 직무를 되새기고 완전한 성덕으로 나아가게 하고자,

예수 성심 대축일을 "사제 성화의 날"로 정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수 성심을 특별히 공경하는 대축일이며 성체 성혈 대축일 주간의 금요일에 지켜집니다.

예수 성심께 대한 공경은 중세기에 와서 상당히 일반화되어 성 요한 에우데스는 예수 성심 신심과 그 축일 제정의 신학적이고 전례적인 기초를 확립하기에 이르렸습니다.

또한 1673년 12월 27일, 프랑스 방문회 수녀였던 성녀 마르가리따 마리아 알라코크에게 예수님께서 발현하시어 성심 공경과 성심 축일의 제정을 요청하시게 되어,성심께 대한 신심이 공적으로 세상에 전파되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후 1856년 교황 비오 9세는 전세계 교회에서 예수 성심을 공경할 것을 지시하고 예수 성심 대축일을
제정하였습니다.

1899년 교황 레오 13세는 이축일의 전례상의 등급을 높이고 온세계를 예수 성심께 봉헌하였습니다.

또한 1928년 교황 비오 11세는 이축일을 8부 축일(이것은 1960년에 폐지됨)로하고 회칙’극히 자비로운 구원자’를 통하여  예수 성심 축일을 위한 기도문과 취지를 규정하고 세계를 예수성심께 봉헌하는 예절을 매년 그리스도 왕 축일에 경신할 것을 지시하였습니다.

한편 축일 제정 100주년을 기념하여 1956년 비오 12세는 예수 성심 공경에 관한 회칙을 발표하여  예수 성심 공경을 더욱 구체화하였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69년 이래로 대축일로 지켜지고 있는데 그 날짜가 성체 성혈 대축일 주간 금요일로 지정된 것은 예수 성심이 성체성사와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1995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이날을 사제성화의 날로 정하여 사제들이 완덕에로 나아가도록 기도하는 날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날마다 좋은 날 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