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

우리에겐 이런 시절도 있었습니다.

우리에겐 이런 시절도 있었습니다.

1954년 대구...KOREA.....     Photo by Adam Ewert,Ph.D.80
자료 입수 정찬권(미국 유학생)...http://blog.naver.com/texasatm...2007.02.06

1주일 전에 와이프가 영어를 배우러 다니는 미국교회의 Adam이란 할아버지 선생님의 저녁초대가 있었습니다.
한국인들만 초대하는 저녁식사 였습니다. 전에 한국에 가본적 있다는 소리를 들었기 때문에 별생각 없이 방문을 했었습니다.
처음엔 Adam의 나이 79세, 우리나라로 따지면 80 이었다는것에 잠시 놀랬습니다.
80세의 나이에도 volunteer로 교회에서 외국인을 위한 영어수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복구가 한참이었던 1954년부터 1955년까지 대구에서 2년간 교회의 봉사활동을 자원해서 한국에 왔었다고 하면서,
그당시 찍었던 귀한 한국의 사진들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25 전쟁 당시 피난시절의 판자촌 사진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피난민에게 우유를 더운물에 타서 나누어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호품을 배급 받은 어린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시의 구호품 트럭
우리가족은 1.4 후퇴 때 부산으로 피난을 가서 구호품을 받는 것을 보지 못했으나
천주교 신부님이 여주 근처의 교회에서 구호품을 나누어 주시던 추억을 들려주셨다.
신부님께서는 당시의 참상을 때로는 암담하게 때로는 재치와 유모로 들려주셨다.
두개의 커다란 구호품 보따리가 교회에  배달 되었는데 그안에는 여러가지 처음 보는 서양 옷이며 뽀족 구두도 있었다고
 그런데 보따리 하나에는 두개의 멋진 수를 놓은 것에 끈이 달려있는 것만 나와서  남녀노소
모두 나누어 주었는데 다음날 노인들 특히 할아버님들이 모두 귀 걸이를 하고 나오셨다고 합니다
후에 알았지만 브라자를 노인들이 귀걸이인줄 알고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의 Adam과 아내 Alice의 모습입니다...
한국에 갔을당시 의대를 졸업하고 처음으로 자원 봉사를 나간 곳이라 합니다.
이후 몇나라를 더 돌아다니다가 UTMB(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에서 의사 및 교수를 하다가
지금은 은퇴를 하고 교회에서 외국인들은 위한 영어수업등의 봉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서재에는 그동안 다녔던 30여개국이 넘는 나라들의 사진들이 있었습니다.
한국에 대해서는 너무 오래된 기억들만 가지고 있었습니다.
해서 몇장의 지금의 한국 사진과 영상을 보여 주었더니 한번 가보고 싶은데,
나이가 많아서 이젠 여행하기 힘들거라며 웃어주었습니다.
제가 태어나기도 한참 전의 빛바랜 칼라사진들이 묘한 느낌을 가지게 하네요...

100여장이 넘는 한국전쟁 후의 대구의 모습들이 있었습니다만,
블로그 한페이지에 올릴수 있느 양이 한정되어 일단 몇장만 올려 봅니다...
올라와 있는 모든 사진은 Adam이 사용을 흔쾌히 허락 해 주었습니다.

두번째 1954년 대구의 사진들 입니다.

싸구려 필름 스케너를 가지고 있었던 덕분에,
130장 정도의 슬라이드 필름을 스켄하는데 5시간 정도가 걸렸습니다...
학생인 저로서 5시간의 투자는 큰 것이죠, 물론 50년동안 사진을 간직하고 있었던 Adam에 비하면 새발의 피겠지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이 Adam이고 오른쪽은 친구인 burkholder라고 써 있네요...
맞는 이름인지는 모르겠습니다...
Jeep을 타고가다가 전복사고를 당한후 대구의 한 군병원에서 치료후 기념으로 찍었다고 합니다.
지금의 사진과 비교했을때 눈빛이 강렬하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조물품에 대한 환영행사에 학생들이 동원(?)된것 같은 사진입니다...
전쟁후의 모습들인데도 밝은 표정들입니다...(단월)도 아마 그 어디있었으리

1954 대구에서 2007 Galveston 으로.. KOREA

2007/02/09 17:29
http://blog.naver.com/texasatm/150014344545

참 정신없던 지난 몇일 이었습니다.
아는 사람들만 찾아오던 한적한 제 블로그를 들어간 3일전 믿을수 없는 방문횟수에
네이버에 오류가 생겼나 하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인터넷 신문에 제 블로그가 올라간 것을 알게 되었고.....
첫날 2500명 이상의 사람들....
둘째날 15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찾아 주었습니다.
사진을 보면서 느낄수 있었던 말못할 감정을 어설픈 제 블로그에 올리자 많은 사람들이 찾아준 것입니다.
수많은 방문과 댓글... 다행이 악플하나 없는 댓글과 Adam선생님에 대한 감사 인사,
사진을 올린 저에 대한 격려로 아내와 저는 많이 흐믓해 했습니다.
그 와중 대구의 매일신문과 대구KBS에서 연락이 왔고...
먼저 저에게 연락을 하신 매일신문의 사진부 안기자님에게 사진과 내용을 보낼수 있었습니다.
참 보기 힘든 우리나라의 근대사 사진, 더군다나 컬러인 사진.....
맘 같아서는 1954년 이후 한국을 잘 모르시는 Adam선생님을 한국에 초대하고 싶었으나,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아직 학생신분인 저의 입장이......ㅡㅡ;
한국사람의 방문이 많지 않은 이곳 Galveston에서
기회가 있으실 때마다 한국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으셨고, 한국의 발전을 보고 듣고 싶으셨다고 합니다...
제가 할수 있었던건 몇장의 최근 한국 사진과 관광공사 홈페이지에 올라온 짧은 홍보 영상물을
DVD에 녹화해 댁에서 보여드리는 것이 다였습니다.
이날 인터뷰를 같이한 동네 한인들과 함께한 사진입니다.
다시한번 Adam과 Alice에게 감사 드립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의 인터뷰는 이곳 시간 2월 8일 저녁8시에 이루어 졌습니다.
좀더 빠른 인터뷰를 시도 하려 했으나, 두분 모두 오늘도 8시까지 봉사활동이 있으시다고 했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참 욕심없으시고, 검소한 삶을 사시는 분들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50년대 대구 모습 슬라이드 제공 아담씨 인터뷰
몇일전에 반기문 총장의 아프리카 방문 사진을 인터넷을 통해 볼수 있었읍니다.
사진의 내용에 대해선 지금 잘 모르겠지만,
50년대의 이 사진들과 비슷한 분위기의 사진들 이었던것 같습니다.
미묘한 감정들을 표현하기 힘들지만,
자만하지말고 성실하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공돌이다 보니까 화두를 던져놓고 마무리가 힘드네요...^^;
하여간 Adam에게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도깨비 뉴스에 기사화 되었네요.... 어쩐지 찾는이 뜸한 제 블로그에 2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찾아와 좀 놀랬다는....^^;
2007-02-07
http://www.dkbnews.com/bbs/zboard.php?id=headlinenews&no=7623

대구 매일 신문 (2007.2.9)에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online과 offline 동시에 기사화 되었습니다.
12일자 신문에 인터뷰내용과 사진이 더 기사화 될 예정 입니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402&yy=2007

대구 매일신문 2월 12일자 신문에 인터뷰기사와 대구 사진 120장 모두를 볼수 있습니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763&yy=2007

많은 대구분들이 사진에 대한 고증을 해 주셨으면 하는 작은 바램입니다.
그리고 지역발전에 힘쓰시는 매일신문도 많은 발전 있으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퐁당퐁당 하늘여울
             http://cafe.daum.net/leer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