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최후의 만찬에는 진혼곡이 숨겨져있다


 
 
伊음악가, 4년 연구끝에 숨겨진 음악 찾아내

(제네바=연합뉴스) 이 유 특파원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만찬'에서 숨겨진 레퀴엠(진혼곡)을 찾았다."

이탈리아의 음악가이자 컴퓨터 전문가인 죠반니 M. 팔라(45)가 2003년부터 4년 동안의 연구 작업 끝에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 예술가였던 다빈치가 그렸던 `최후의 만찬'에 숨겨진 음악을 찾아냈다고 AP 통신이 10일 전했다.

밀라노의 산타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의 벽화인 이 작품은 다빈치가 1494∼1498년 기간에 그린 것으로 예수가 체포돼 처형되기 전날 12제자들과 마지막 저녁식사를 하는 장면으로 유다의 배반이라는 극히 한정된 순간을 그렸다.

9일 출간된 저서 `숨겨진 음악'에서 그는 기독교 신학에서 상징적 가치를 지닌 회화의 요소들을 음악적인 실마리로 어떻게 해석해 냈는 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맨 처음에 팔라는 이 그림 전체에 걸쳐 다섯 줄의 평행선인 보표(譜表)를 그려 넣게 되자, 예수와 12제자들의 손들 뿐만 아니라 식탁 위에 놓인 빵 덩어리들도 각각 하나의 음표(音標)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것은 그리스도의 육체를 상징하는 빵과, 빵을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손들 간의 관계에 대한 기독교 상징주의의 설명에도 들어 맞는다고 팔라는 주장했다.

하지만 그와 같은 음표들은 다빈치의 독특한 필법에 따라 그 음값들을 오른 쪽에서부터 왼 쪽으로 읽어야만 한다는 것을 깨닫기까지는 음악적으로는 어떠한 의미도 지니지 못한 것들이었다고 그는 털어 놓았다.

팔라는 또한 자신의 저서에서 `최후의 만찬' 그림 속에서 느린 리듬의 악곡과 각 음표의 길이를 드러내는 다른 실마리들을 어떻게 찾아 냈는지도 소개했다.

그 결과 드러난 것은 파이프 오르간으로 가장 잘 연주할 수 있는 40초 짜리 "찬송"이었다고 그는 덧붙였다. 파이프 오르간은 다빈치 시대에 영성 음악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던 악기이다.

이에 대해 다빈치 전문가인 알레산드로 베초지는 팔라의 가설이 "그럴 듯 하다"면서, `최후의 만찬'에서 "공간들은 조화롭게 나눠져 있음이 확실하며, 조화로운 비례들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음악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팔라는 자신의 작업을 통해 "한 새 인물이 등장하는데 그는 어떤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이단적이지 않고, 하느님을 믿는, 진정으로 하느님을 믿는 그런 사람이었다"고 예수와 관련한 인기소설 `다빈치 코드'의 음모설을 반박했다.

한편 나중에 이 벽화를 본 독일의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화가(다빈치)가 고요한 만찬을 흐트러 놓는 기폭제로 사용한 것은 스승인 예수가 `너희 중에 배반자가 있다'고 한 말이다. 그 말이 나오는 순간,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모두 동요했고 예수는 시선을 아래로 떨어뜨리고 고개를 수그리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퍼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