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조절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미 예방에는 매실차 유자차 둥굴레차 김 인삼... 기미는 장부의 악화나 영양상태 의 부족 으로 기미가 생긴다 1. 비허타입 ( 소화 기능의 약화로 생기는 기미 ) 1) 비허타입이란 ? 비허타입은 소화 기능을 담당하는 비장과 위장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몸 구석구석에 양분이 제대로 전달이 안되어 피부에 그 트러블이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즉, 피부에 영양이 부족하여 얼굴빛이 칙칙해지고 기미가 생기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2) 비허타입의 자가 진단 ( 소화 장애를 기본 증상으로 ) ① 항상 기운이 없다. ② 배에 가스가 자주 찬다. ③ 소화가 안되고 식욕이 없다. ④ 일어설때 어지럽다. ⑤ 얼굴과 팔다리가 잘 붓는다. ⑥ 설사를 자주 한다. ⑦ 손발이 차다. ⑧ 생리혈이 묽은 색이다. 해당 사항이 3가지 이상이 되며 얼굴에 기미가 많다면 위장이 기능 장애를 기미.. 부위별로 나타나는 기미 부위별로 나타나는 기미. 그 원인은 무엇일까? 흔히 피부는 오장 육부의 거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오장 육부의 이상이 피부의 이상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지요. 여드름을 예로 들어 폐에 열이 많으면 이마에, 위장 경락이 막혀 있으면 볼에 , 자궁이나 신장이 약하면 턱과 입주변에 , 간에 열이 많으면 코에 여드름이 많이 납니다 ① 눈 밑과 눈 주위에 기미가 많다면 대체로 정서적인 스트레스가 누적이 되어 간 기능이 떨어지면 기가 울체되고 그 기운이 얼굴 부위로 올라가 정상적으로 피부에 영양분 공급이 안 되어 기미가 생기게 됩니다. 속이 메스껍고 어지러우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있습니다. 또한 소변이 잦고 가끔 명치 부분에 통증이 있을 때도 있습니다. ② 광대뼈 주위에 기미가 자꾸 생긴다면 산후에 , 위장 장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