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호 인공섬 썸네일형 리스트형 팔당호 인공섬 7년 절반의 성공 팔당호 인공섬 7년… 절반의 성공 물풀 30여종 서식… 물고기도 몰려들어 수질개선 위해선 지금보다 크기 늘려야 경기 광주시 퇴촌면 오리, 팔당호 경안(慶安)천 수역 한 귀퉁이에 커다란 수초(水草)섬이 떠있다. 가로 42m, 세로 65m 크기의 이 섬은 스테인리스 틀에 갈대, 달뿌리풀, 애기부들 등 물에 사는 풀을 심고 스티로폼을 깔아 띄운 ‘인공 식물섬’이다.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가 2000년 5월 수질(水質)을 좋게 하고 생태계를 되살려보자는 뜻에서 1억9600만원을 들여 만들었다. 7년이 넘은 지금, 수초섬은 ‘절반의 성공’만을 거두고 그 자리 그 모습 그대로 떠 있다. 물을 깨끗하게 하려면 섬을 더 크게 만들어야 하는데 7년 동안 한 뼘도 나아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팔당호 수면 면적이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