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으면 즐거워지는 뇌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4/20_24_8_12_blog78227_attach_8_820.gif?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20_24_8_12_blog78227_attach_8_833.jpg?original)
뇌가 좋아하는 식품
웃으면 즐거워 지는 뇌
두뇌가 행동을 결정한다. 그러나 행동이 두뇌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억지로라도 얼굴 근육을 움직여 웃는 모양을 만들면 감정을 다루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고
마음이 즐거워진다.
이를 보는 다른 사람 또한 즐거워진다.
그래서 ‘웃으면 복이 온다(笑門萬福來)’고 한다.
웃음이 개인과 사회의 만병통치약인 셈이다.
감정의 얼굴 표현은 모든 영장류에서 공통적이다. 놀라운 일이다.
언어능력이 학습에 의해 후천적으로 얻어짐에 반해,
얼굴표현과 인지능력은 선천적으로 주어진다.
소프트웨어가 아닌 하드웨어로 구성된 것이다.
다만 언어와 달리 얼굴의 감정표현은 다양하지 못하고 제한적이다.
얼굴의 감정표현이 생물적 기반에 의한 것이라는
1872년 다윈의 가설은 최근 뇌기능영상 기법으로 확인되었다.
얼굴로부터 감정을 읽고 얼굴로 표현을 하는 것은 거의 조건반사적이고
다른 두뇌 부위와 무관하다.
감정을 담당하는 일부 뇌 부위의 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
이에 반응하는 감정표현을 위한 안면근육의 신경신호가 0.5초에서 1초 이후에 나타난다.
얼굴의 측면보다는 정면을 보여주어 눈동자가 마주치게 하고,
감정표현이 클수록 반응도 더욱 크게 나타난다.
실험 대상이 말로 보고하는 데서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얼굴표정 반응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나타난다.
같은 감정을 느끼지만 사회적 학습에 의해 서로 다른 표현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왼쪽 얼굴과 오른쪽 얼굴의 차이도 나타난다.
왼쪽 입술을 움직여 웃으면 주로 우뇌가 작용하게 되며,
오른쪽 입술로 웃으면 좌뇌가 작용한다.
대부분의 동물에서 좌뇌가 보다 긍정적•외향적•적극적•분석적 사고를 담당하고,
우뇌가 창의적•예술적•직관적 사고를 담당한다.
따라서 오른쪽 입술로 웃는 것이 보다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왼쪽 얼굴로 웃으면 약간 슬픈 느낌을 주기도 한다.
웃으면 즐거워 지는 뇌
두뇌가 행동을 결정한다. 그러나 행동이 두뇌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억지로라도 얼굴 근육을 움직여 웃는 모양을 만들면 감정을 다루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고
마음이 즐거워진다.
이를 보는 다른 사람 또한 즐거워진다.
그래서 ‘웃으면 복이 온다(笑門萬福來)’고 한다.
웃음이 개인과 사회의 만병통치약인 셈이다.
감정의 얼굴 표현은 모든 영장류에서 공통적이다. 놀라운 일이다.
언어능력이 학습에 의해 후천적으로 얻어짐에 반해,
얼굴표현과 인지능력은 선천적으로 주어진다.
소프트웨어가 아닌 하드웨어로 구성된 것이다.
다만 언어와 달리 얼굴의 감정표현은 다양하지 못하고 제한적이다.
얼굴의 감정표현이 생물적 기반에 의한 것이라는
1872년 다윈의 가설은 최근 뇌기능영상 기법으로 확인되었다.
얼굴로부터 감정을 읽고 얼굴로 표현을 하는 것은 거의 조건반사적이고
다른 두뇌 부위와 무관하다.
감정을 담당하는 일부 뇌 부위의 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
이에 반응하는 감정표현을 위한 안면근육의 신경신호가 0.5초에서 1초 이후에 나타난다.
얼굴의 측면보다는 정면을 보여주어 눈동자가 마주치게 하고,
감정표현이 클수록 반응도 더욱 크게 나타난다.
실험 대상이 말로 보고하는 데서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얼굴표정 반응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나타난다.
같은 감정을 느끼지만 사회적 학습에 의해 서로 다른 표현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왼쪽 얼굴과 오른쪽 얼굴의 차이도 나타난다.
왼쪽 입술을 움직여 웃으면 주로 우뇌가 작용하게 되며,
오른쪽 입술로 웃으면 좌뇌가 작용한다.
대부분의 동물에서 좌뇌가 보다 긍정적•외향적•적극적•분석적 사고를 담당하고,
우뇌가 창의적•예술적•직관적 사고를 담당한다.
따라서 오른쪽 입술로 웃는 것이 보다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왼쪽 얼굴로 웃으면 약간 슬픈 느낌을 주기도 한다.
동물의 경우 행동이나 인지 반응만으로 좌뇌 또는 우뇌 주도형을 구분할 수 있다.
좌뇌 주도형 동물은 적극적이고 새로운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한다.
그러나 사람의 경우 좌•우 뇌와 행동의 관계는 단순하지 않아서,
왼손잡이가 모두 우뇌 주도형 인간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뇌파를 측정해 활성화되는 신경신호의 위치를 계산해 내면 보다
정확한 판정이 가능하지만,
좌•우 뇌의 기능을 단순히 정형화해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감정은 기억에도 영향을 미친다.
감정이 포함된 사건은 더욱 잘 기억되므로 외우는 전술로도 우수하다.
이는 두뇌가 각 영역이 상호 연합해 작용한다는 증거가 된다.
좌뇌 주도형 동물은 적극적이고 새로운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한다.
그러나 사람의 경우 좌•우 뇌와 행동의 관계는 단순하지 않아서,
왼손잡이가 모두 우뇌 주도형 인간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뇌파를 측정해 활성화되는 신경신호의 위치를 계산해 내면 보다
정확한 판정이 가능하지만,
좌•우 뇌의 기능을 단순히 정형화해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감정은 기억에도 영향을 미친다.
감정이 포함된 사건은 더욱 잘 기억되므로 외우는 전술로도 우수하다.
이는 두뇌가 각 영역이 상호 연합해 작용한다는 증거가 된다.
건강한 행동에 건강한 마음이 깃든다.
오른쪽 얼굴로 크게 웃자.
웃을 일이 없더라도 일부러라도 크게 활짝 웃으면 자신이 즐거워지고
남도 따라 즐거워진다.
“나이 사십이 지나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말이 있다.
평소에 웃는 연습을 하면 진짜로 웃을 좋은 일이 생기고,
이는 다시 얼굴에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오른쪽 얼굴로 크게 웃자.
웃을 일이 없더라도 일부러라도 크게 활짝 웃으면 자신이 즐거워지고
남도 따라 즐거워진다.
“나이 사십이 지나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말이 있다.
평소에 웃는 연습을 하면 진짜로 웃을 좋은 일이 생기고,
이는 다시 얼굴에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출처: 중앙일보 과학칼럼 - 이수영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웃습시다 하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