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의보감

무궁화(無窮花) 무궁화(無窮花) 우리나라 꽃 무궁화 무궁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자료 뿌리의 껍질에는 타닌산과 점액질이 들어있고, 꽃에는 사포닌이, 종자에는 말발산, 세루쿨산, 디하이드로 스테로쿨산이 함유돼있으며, 줄기와 뿌리는 이질균과 티프스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고, 실제로 이질, 탈항(脫肛: 치질의 한가지로 장치(腸痔)라고도 함), 백대하, 옴, 무좀, 치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데, 중국의 무좀약인 복방토근피정은 무궁화의 약효를 이용하여 제품화한 대표적인 약품이라고 하며, 옛 선조들의 몸에 좋은 구황식물 중 하나인 무궁화의 다양한 식용법이 전하는데, 춘궁기면 무궁화 잎을 따 나물이나 국으로 조리해먹었다고 하고, 일본에서 발간된 ‘만선식물’이라는 책에도 ‘어린잎은 식용하고, 불에 볶아서 차대용으로 마시기도 했으며..
산수유 이야기 산수유 집집 마다 노랗게 피었다. 산수유 이야기 강장제•수렴제로서 효과가 있다. 또 정원에 심기도 하며 꽃꽂이용으로 널리 재배한다. 근연종이 유럽에서 카프카스에 걸쳐서 북아메리카 캘리포니아에 각각 1종이 격리•분포되어 있는데, 그 상태나 세포유전학적 연구에 의하면 층층나무과 중 가장 오래된 무리의 하나라고 한다. 한국•중국이 원산이다 "동의보감"으로 알아 본 산수유(山茱萸, Cornus officinalis)의 약리작용 산수유는 약간 따뜻한 성질에 신맛을 갖고 있으며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몸을 단단하게 한다. 신맛은 근육의 수축력을 높여주고 방광의 조절능력을 향상시켜 어린아이들의 야뇨증을 다스리며, 노인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요실금 증상에도 효능이 있다. 노인이나 어린아이가 이런 증상을 보일 때 인삼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