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無窮花)
무궁화(無窮花) 우리나라 꽃 무궁화 무궁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자료 뿌리의 껍질에는 타닌산과 점액질이 들어있고, 꽃에는 사포닌이, 종자에는 말발산, 세루쿨산, 디하이드로 스테로쿨산이 함유돼있으며, 줄기와 뿌리는 이질균과 티프스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고, 실제로 이질, 탈항(脫肛: 치질의 한가지로 장치(腸痔)라고도 함), 백대하, 옴, 무좀, 치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데, 중국의 무좀약인 복방토근피정은 무궁화의 약효를 이용하여 제품화한 대표적인 약품이라고 하며, 옛 선조들의 몸에 좋은 구황식물 중 하나인 무궁화의 다양한 식용법이 전하는데, 춘궁기면 무궁화 잎을 따 나물이나 국으로 조리해먹었다고 하고, 일본에서 발간된 ‘만선식물’이라는 책에도 ‘어린잎은 식용하고, 불에 볶아서 차대용으로 마시기도 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