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20_24_8_12_blog78227_attach_3_310.jpg?original)
도자기 받침용상 받침찬합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4/20_24_8_12_blog78227_attach_3_311.jpg?original)
장미4호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20_24_8_12_blog78227_attach_3_307.jpg?original)
중국찬합과 컵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20_24_8_12_blog78227_attach_3_309.jpg?original)
테잎용 장식장
나는 아침 산책을 즐긴다
건너 편 응암동 약수터까지는 왕복 30분이 걸린다.
아침 밥을 안쳐 놓고 물병 두 개를 색에 넣고 간다.
앞 건물에서 이사를 하면서 헌 농을 두고 갔다
동회에 가서 수거 용 금액을 지불했다는 증서를 붙여야 하는데 잊고 갔는지 두고 갔는지 한달이 지났는데도 그 자리에 그냥 있다
이사를 하는 사람들은 새집으로 갈 때 필요 없는 가구를 버리고 간다
새집으로 이사를 와도 집에 안 맞으면 버린다
쓸만한 물건이 자주 쓰레기 장으로 나온다.
장롱 컴퓨터, 책상, 전기 담뇨, TV, 그릇, 책, 침대, 이불, 소반, 교자 상, 침구, 접시,후라이 팬, 도자기, 거울, 액자, 책꽂이, 테잎용, 장식장, 신문지.… 없는 거 빼고는 다 있다
동네를 한 바퀴 돌면 살림살이가 다 나온다
방만 있으면 살림을 꾸릴 수 있다.
요즘 사람들은 필요 없는 것은 다 버린다.
어제에 애용하던 물건이 오늘은 쓰레기가 되어 버릴 때도 돈을 주고 버린다.
재활용이 가장 잘 되는 것은 종이류 신문 잡지 종이상자.
내가 주서온 재활용품은 도자기 받침대와 테잎용 장식장 그리고 깨진 도자기. 앙증 맞은 잔 장미그림 유화
약수터에 다녀 오니 전기 밥솥이
"밥을 저어주셔요"
전기 밥솥이 말을 한다